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8

[Java]동기와 비동기 방식(Asynchronous processing model) 해당글은 다소 잘못된 설명이 있어 참고용으로만 보시기 바랍니다.아래링크는 다시 정리한 내용입니다.리뉴얼 글: https://webheck.tistory.com/entry/Java-%EB%8F%99%EA%B8%B0%EC%8B%9D-%EC%B2%98%EB%A6%AC%EC%99%80-%EB%B9%84%EB%8F%99%EA%B8%B0%EC%8B%9D-%EC%B2%98%EB%A6%AC-feat-%EB%B8%94%EB%A1%9D%ED%82%B9-%EB%85%BC%EB%B8%94%EB%A1%9D%ED%82%B9%EC%9D%84-%EA%B3%81%EB%93%A4%EC%9D%B8 [Java] 동기식 처리와 비동기식 처리 ( feat. 블록킹 논블록킹을 곁들인 )https://webheck.tistory.com/entry.. 2020. 7. 26.
[백준 - 1712번] 손익분기점 계산 손익분기점 문제 월드전자는 노트북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회사이다. 노트북 판매 대수에 상관없이 매년 임대료, 재산세, 보험료, 급여 등 A만원의 고정 비용이 들며, 한 대의 노트북을 생산하는 데에는 재료비와 인건비 등 총 B만원의 가변 비용이 든다고 한다. 예를 들어 A=1,000, B=70이라고 하자. 이 경우 노트북을 한 대 생산하는 데는 총 1,070만원이 들며, 열 대 생산하는 데는 총 1,700만원이 든다. 노트북 가격이 C만원으로 책정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생산 대수를 늘려 가다 보면 어느 순간 총 수입(판매비용)이 총 비용(=고정비용+가변비용)보다 많아지게 된다. 최초로 총 수입이 총 비용보다 많아져 이익이 발생하는 지점을 손익분기점(BREAK-EVEN POINT)이라고 한다. A, B, .. 2020. 7. 26.
[기타] 맥북 입문하기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 로망중 하나가 바로 맥북을 이용하는 것이다. 맥북 뭔가 깔끔하고 깨끗하고 멋지고.. 비싸고... 각종 수식어를 붙여도 과언이 아니다. ( 지금 사서 기분 좋아서 그러는게 아님.. 아니 그냥 좋다 ㅋㅋㅋㅋ) 첫 맥북이고 아직 자금이 많이 부족한 터라 새것을 사기는 좀 뭐해서 중고로 구매를 하였다. 모델은 2015년식 15인치로 구매하였다! 주로 웹과 안드로이드를 개발을 했지만 맥북을 산 궁극적인이유는 바로 iOS개발을 시작해 보고 싶어서 였다.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다보니 iOS 또한 관심이 많이 가게 되었고, 또한 지금은 Java 로 안드로이드를 개발했지만, 요즘 추세인 Kotlin으로 개발하기 위해 Kotlin을 공부하다 보니 iOS의 Swift 또한 Kotlin 과 매우 비슷한.. 2020. 7. 25.
[CS] 논리 연산의 단락 평가 (short-circuit evaluation) 코딩에 있어서 논리 연산은 정말 코딩의 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인생은 True와 False의 선택에서 살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치 아침에 알람이 울렸을 때 알람을 듣고 깰지.. 끄고 더 잘 것인지에 대한 판단 또한 논리 연산이라 말할 수.. 있다..ㅋㅋ 암튼 이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오늘은 논리 연산 시에 일어나는 단락 평가 (short-circuit evaluation)에 대해서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할 것이다. 먼저 단락 평가란 두 개 이상의 논리 연산을 진행할 때 첫 번째 값만으로 결과가 확실할 때 두 번째 값은 확인(평가) 하지 않는 방법을 말한다. 먼저 논리 연산에는 다음과 같이 4가지가 존재한다. && (and 연산) 두 논리값이 모두 True일 때 True return || .. 2020. 7. 23.
[정보처리기사] 고급 데이터베이스 고급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웨어하우스 (Data Warehouse) 급증하는 다량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여 정보화하고 이를 여러 계층의 사용자들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마트 (Data Mart) 전사적으로 구축된 데이터 웨어하우스로부터 특정 주제나 부서 중심으로 구축된 소규모 단일 주제의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말함. 데이터 마이닝 (Data Mining)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저장된 데이터 집합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유용하고 가능성 잇는 정보를 발견하기 위한 기법. (2020 정보처리기사 1회 기출) OLAP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다차원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로부터 통계적인 요약 정보를 분석하여 의사 결정에 활용하는 방식. OLTP (On.. 2020. 7. 23.
반응형